728x90
반응형
산술 연산자 란 덧셈 , 뺄셈 등과 같이 산술 또는 수학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 기호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 에서 쓰이는 산술 연산자 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# 1. 산술 연산자 란?
산술 연산자는 숫자 값에 대해 연산하고 결과를 반환합니다.
파이썬을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러한 연산자는 표준이며 숫자 값을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.
우리가 일반적으로 덧셈, 뺄셈, 곱셈,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.
# 2. 산술 연산자의 기호 와 설명
그럼 산술 연산자 의 종류는 어떻게 되고 기호는 무엇일까요? 다음과 같이 표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# 3. 산술 연산자의 예제
그럼, 이제 실제로 적용되는 산술연산자의 예제를 알아보겠습니다.
덧셈
# 덧셈
a = 10
b = 5
print(a + b) # 결과 : 15
뺄셈
# 뺄셈
a = 10
b = 5
print(a - b) # 결과: 5
곱셈
# 곱셈
a = 10
b = 5
print(a * b) # 결과: 50
나눗셈
# 나눗셈
a = 10
b = 5
print(a / b) # 결과: 2.0
나머지
# 나머지
a = 10
b = 5
print(a % b) # 결과: 0
거듭제곱
# 거듭제곱
a = 10
b = 5
print(a ** 2) # 결과: 100
몫
# 몫
a = 10
b = 5
print(a // b) # 결과: 2
# 4. 마무리
산술연산자 는 기본적인 계산부터 복잡한 알고리즘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이 블로그 포스팅에서 살펴본 것처럼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), 나머지(%), 거듭제곱(**), 몫(//) 등의 연산자는
단순한 기호가 아니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데이터를 조작하고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키가 될것입니다.
다음포스팅 에서는 비교연산자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.
이번 포스팅이 작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반응형